페이지 정보
본문
[대구시] 달성 태고정
-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
- http://www.cha.go.kr
* 박팽년을 기리는 건물, 태고정 *
이 건물은 조선 성종 10년(1479)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세운 별당건축이다. 지금 있는 건물은 선조 25년(1592) 임진왜란 때 불타서 일부만 남았던 것을 광해군 6년(1614)에 다시 지은 것이다. 일명 ‘일시루 (一是樓)’라고도 한다.현재 대청에는 임진왜란 후 치찰사로 온 윤두수의 한시를 새긴 현판과, 정유재란 후 명군 선무관이 남긴 액자들이 있다. 네모난 모양의 단 위에 서 있으며 앞면 4칸 ·옆면 2칸 크기로, 동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, 서쪽 2칸은 방으로 꾸몄다. 대청 앞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옆면과 뒷면에는 문을 달았을 것으로 추정한다.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.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해 놓았는데 단순한 아궁이가 아닌 부엌을 한쪽 구석에 둔 것은 흔치 않은 것이다.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건물이지만 가구나 세부가공이 정교한 편이다.
* 박팽년에 대하여 *
조선 전기의 문신.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. 집현전 학사로 여러 가지 편찬사업에 종사했고 단종복위를 도모하다 김질의 밀고로 탄로되어 체포되어 고문으로 옥중에서 죽었다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글씨에 《취금헌천자문(醉琴軒千字文)》이 있다. 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묘역에 있다.
이 건물은 조선 성종 10년(1479)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세운 별당건축이다. 지금 있는 건물은 선조 25년(1592) 임진왜란 때 불타서 일부만 남았던 것을 광해군 6년(1614)에 다시 지은 것이다. 일명 ‘일시루 (一是樓)’라고도 한다.현재 대청에는 임진왜란 후 치찰사로 온 윤두수의 한시를 새긴 현판과, 정유재란 후 명군 선무관이 남긴 액자들이 있다. 네모난 모양의 단 위에 서 있으며 앞면 4칸 ·옆면 2칸 크기로, 동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, 서쪽 2칸은 방으로 꾸몄다. 대청 앞면은 개방되어 있는데 옆면과 뒷면에는 문을 달았을 것으로 추정한다.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.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해 놓았는데 단순한 아궁이가 아닌 부엌을 한쪽 구석에 둔 것은 흔치 않은 것이다.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건물이지만 가구나 세부가공이 정교한 편이다.
* 박팽년에 대하여 *
조선 전기의 문신.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. 집현전 학사로 여러 가지 편찬사업에 종사했고 단종복위를 도모하다 김질의 밀고로 탄로되어 체포되어 고문으로 옥중에서 죽었다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, 글씨에 《취금헌천자문(醉琴軒千字文)》이 있다. 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묘역에 있다.
이용안내
- 안내문의 : 053-668-3162
- 유모차 대여여부 : 없음
- 애완동물 동반 가능 여부 : 없음
- 신용카드 가능 여부 : 없음
위치안내
(42900)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
사진 더보기
블로그 관련글 보기
달성 태고정(太古停) 보물 554호순천박씨 충정공파 22대손인 꽃다지 태고정 다녀왔습니다. 달성 태고정(太古停) 보물 554호 태고정은 성종 10년(1479)에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(朴壱珊)이 건립한 정자이다. 원래는 종가... - 청도 꽃다지 감꽃농원
대구 달성 하빈 태고정(대구 달성 가볼만한곳)달성 태고정(보물 제554호) 태고정은 성종 10년(1479)에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인 박팽년의 손자 박일산이 건립한 정자이다. 원래는 종가 안에 붙어 있던 별당 건물이었는데, 선조 25년(1592) 임진왜란 때 불타... - Apple tree의 나들이 사진
달성 태고정 – 대구[41]달성 태고정은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 마을에 있던 흥(興) 자 모양 99칸 종택에 딸린 건물이다. 달성... 이름을 태고정이라 하였다. 「태고정기(太古亭記)」에는 종택의 규모를 묘사하고 있으며, 현 숭정사의... - 문화재? 문화재!!
주변 관광, 숙박 정보
페이지 정보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