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이지 정보
본문
개오리오름
-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(봉개동)
- 제주문화관광 http://www.visitjeju.net/
5.16도로 (제1횡단도로) 조랑말목장 동쪽의 방송중계탑이 설치되어 있는 오름이다. 크고 작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복합형 화산체이며, 개오리오름은 주봉(743m)인 송신탑이 서 있는 곳의 오름을 말한다.
족은개오리(664m)는 북쪽에 서향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갖는 것이고, 가운데에 샛개오리(658m)라 부르는 원추형의 작은 오름이 위치해 있다. 전체적으로 두 개의 말굽형 화구를 갖는 복합형이다. 전사면이 낙엽수, 상록수 등이 울창하게 우거진 자연림을 이루고, 일부에 삼나무, 소나무가 있다. 겨울 한동안은 잎이 다 떨어진 회갈색 사면에 층층으로 늘어선 삼나무 대열이 이채롭다.
산 모양이 개오리(가오리)처럼 생겼다는 이름으로 가으리오름, 개워리오름, 개월오름으로 불리기도 한다. 犬月岳(견월악)이라는 한자명을 놓고, 개가 달을 보고 짖는 형국이라고 풀이하기도 하지만 억지 풀이에 지나지 않는다. `개월`이 개와 달을 뜻하는 것이라면 `개돌(고어로)`이거나 `개달`이어야 할 것이고, 땅 형국이 견월형이라면 견월이었어야 할 것이다.
이른 시기 표기인 竝五里 또는 竝五里岳을 고려하면 `골오리오롬, 골오리오름` 또는 `고오리오롬`이 원래 이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. `골오리오롬, 고오리오롬, 가오리오름`이 말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음운변동을 초래하였고, 이것을 한자로 바꾸는 과정에서 秋月岳, 犬月岳 등으로까지 표기되면서 원래의 이름이나 뜻과는 멀어져 버렸다. 竝岳, 幷岳 등의 표기를 중시한다면 竝을 훈독자로 보고, `골오리오롬` 즉 `골른고른`[竝] 오름, 곧 두 오름이 나란히 누워있는 쌍둥이 오름으로 볼 수 있다.
* 개오리오름(표고 : 743m 비고 : 118m 둘레 : 3,504m 면적 : 640,913㎡ 저경 : 1,298m)
* 샛개오리(표고 : 658.3m 비고 : 58m 둘레 : 1,049m 면적 : 73,832㎡ 저경 : 377m)
* 족은개오리(표고 : 664m 비고 : 79m 둘레 : 1,750m 면적 : 175,778㎡ 저경 : 655m)
이용안내
- 안내문의 : 제주관광정보센터 064-740-6000
- 유모차 대여여부 : 없음
- 애완동물 동반 가능 여부 : 없음
- 신용카드 가능 여부 : 없음
위치안내
(63313)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(봉개동)
사진 더보기
블로그 관련글 보기
개오리오름 삼형제 : 몸집 큰 막내는 길 내면서 힘들게 안면... 종점에서 트랭글 종료시키는 걸 잊어서 ^^ ---------- 포스팅하려다 확인하려고 <오름나그네>를 보니 셋개오리와 족은개오리의 위치가 바뀌었다. ?? 개오리오름은 송신탑이 서 있는 주봉(743m)을 가리키고 북쪽 것을... - 제주를 살다
장생의숲길-개오리오름-한라생태숲) : 제주여행 | 제주오름... 셋게오리오름 삼거리 셋개오리오름에서 조금 더 가서 내려서면 삼거리 갈림길이 나타납니다. 초행길이라 이 근처에서 무척 헤맸는데 한라생태숲에서 올라 원점회귀하는 분을 따라가기로 합니다.... - 꿈꾼의 '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' 이야기
자연림이 울창하게 우거진 제주도 개오리오름 트레킹자연림이 울창하게 우거진 제주도 개오리오름 트레킹 한라생태숲 숫모르숲길을 걷다가, 바로 이웃한 오름 개오리오름을 올랐다. 개오리오름 또는 견월악이라고 부르는 이 오름은, 정상부에 방송국 통신용... - 사랑해
제주 가볼만한 곳 - 꿈꾸는 숲, 셋개오리오름과 함께 하는... 지금 이곳은 가운데의 셋개오리오름이다. 오름이 아닌 듯한, 오름 정상이었다. 정상의 전망이 없어서 더 그런 느낌이 들었을 것이다. 잠시 앉아서 다리쉼을 할 수 있는 벤치만 있을 뿐이었다. 셋개오리오름... - 아름다운 세상으로 향한 문
절물오름,개오리오름예전엔 여기까지만 길이 있었는데 2전망대와 정상둘레길이 생겼다 2전망대 풍경 숫모루편백 숲길 개오리오름 가는길이다 개오리 오름은 조망이 전혀 없다 9키로 정도 걸음~ 오름도 오르고 숲길도 함께할수 있는~~ - 한라산
주변 관광, 숙박 정보
페이지 정보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